💫 오로라란?
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전하를 띤 입자들이 지구의 대기와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 현상이야 . 마치 하늘에 펼쳐지는 커다란 빛의 커튼이나 물결 같다고 상상하면 돼. 북반구에서는 **북극광(Aurora Borealis)**이라고 부르고, 남반구에서는 남극광이라고 부르기도 해 .
🌟 어떻게 생길까?
오로라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생각보다 신기해!
- 태양풍: 태양에서 방출되는 대전 입자(태양풍)가 지구로 날아와 .
- 지구 자기장: 이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지구의 양극(남극과 북극) 근처로 모이게 돼 .
- 대기와의 충돌: 그리고 이 입자들이 지구 대기권에 진입해서 산소나 질소 같은 원자, 분자들과 충돌하면, 이 충돌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다양한 색깔의 빛이 생겨나는 거지 . 마치 브라운관 TV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이 만나 여러 색을 만드는 것과 비슷해 .
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면(흑점 폭발 등) 더 강한 플레어가 많이 발생하고, 그만큼 지구에 더 많은 대전 입자가 유입돼서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지역이 극지방뿐만 아니라 중위도까지 확대될 수도 있다고 해 .
🌈 오로라의 색깔은 왜 다를까?
오로라의 색은 충돌하는 대기 중의 원자나 분자의 종류, 그리고 충돌하는 고도에 따라 달라져 .
- 초록색 오로라: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색인데, 지구 대기 중 100km에서 300km 사이의 고도에서 산소 원자가 충돌하면서 만들어져 .
- 붉은색 오로라: 고도가 더 높은 300km 이상에서 산소 원자가 빛을 방출할 때 나타나 .
- 파란색이나 보라색 오로라: 질소 원자가 충돌하면 파란색이나 보라색을 띠게 된대 .
이렇게 다양한 색깔이 하늘에 펼쳐지니까 정말 아름다운 예술 작품 같지 않아? 😍
🔭 오로라를 어디서 볼 수 있을까?
대부분 북위 60도 이상의 북반구 고위도 지역에서 주로 관측할 수 있어 . 유명한 관측지로는 이런 곳들이 있지!
이런 곳들은 맑은 하늘과 낮은 빛 공해 덕분에 오로라를 관측하기에 아주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대.
재미있는 건, 지구 외에 목성이나 토성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다는 사실! 이 행성들도 지구처럼 큰 자기장을 가지고 있고 가스로 가득 차 있어서 오로라가 발생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하더라고 .
우리나라에서도 2003년에 경북 영천에서 오로라가 관측된 기록이 있대! 아주 희박한 일이었지만, 정말 신비로운 경험이었을 것 같아 .